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나무(꽃)들과의 만남3312

은행나무(은행나무과) 열매와 수꽃 은행나무 열매는 위의 것과는 달리 칙칙한 모습이 일찌감치 열매를 맺은 모양이다. 가로수로 심어진 은행나무로 아직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려 있다. 열매의 겉모양이 살구를 닮아 있다. 2월의 은행나무 열매로 조롱조롱 묵은 열매, 햇 열매 복잡하게 겨울을 나고 있다. 5월의 은행나무로 연두색 여린 잎이 시선을 끈다. 5월의 은행나무 수꽃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월에 잎과 함께 피는데 수꽃은 짧은 가지 끝에 1~5개씩 꼬리꽃차례 연노란색 수꽃이 핀다. 암꽃은 꽃자루에 각각 2개씩 밑씨가 달리지만 보통 1개만 성숙하여 10월에 익는데 표면에 흰 가루 모양의 납 물질이 덮이는데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 단단한 속 껍질 속의 황록색 알맹이는 식용할 수 있다. 아래는 5월의 은행나무 수꽃이다. 5월의 은행나무 수꽃이 바.. 2023. 10. 21.
가막살나무(인동과) 꽃과 열매 가막살나무 꽃으로 10월인데 꽃을 피우고 있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이나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에 흰색 꽃이 핀다. 화관에 털이 있고 수술이 화관보다 길다. 가막살나무로 어뚱하게 가을에 꽃을 피우고 있다. 아직 꽃봉오리 상태로 꽃을 피우지 못하는 것은 아닐지 열매는 핵과로 넓은 달걀형이며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가막살나무로 평소 단풍이 이렇게 아름다웠던가 싶을 정도로 붉은색으로 곱게 물들어 있어 이런저런 모습으로 다양하게 담아 오게 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에 별 모양의 털과 선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둥글거나 거꾸로 된 넓은 달걀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톱니가 있다. 7월의 가막살나무 7월의 가막살나무로 열매를 달고 있다. 7월의 가막살나무 2023. 10. 20.
두충(두충과) 나무껍질은 갈색을 띤 회백색으로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나무껍질은 한약재로 쓰이며 잎은 두충차로 이용한다. 두충 열매로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날개로 되어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어린 가지 밑 부분에 연녹색으로 달리는데 꽃잎은 없다. 많은 가지를 낸다. 2월의 홍릉수목원의 두충이다. 2월의 홍릉수목원의 두충 아래는 11월의 두충이다. 노란색으로 단풍이든 두충이다. 두충 잎 앞면으로 줄기에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좁아져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5~6쌍의 두렷한 잎맥 위에는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예리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도 잔털이 있다. 2023. 10. 18.
수수꽃다리(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 꽃봉오리 4월의 수수꽃다리 꽃은 4~5월 묵은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의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향기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부리는 4갈래로 갈라진다. 4월의 수수꽃다리 4월의 수수꽃다리 4월의 수수꽃다리로 라일락과 비슷해 흔히 라일락으로 부르기도 하지만, 잎의 모양이 라일락은 폭보다 길이가 약간 긴 편이다. 수수꽃다리는 폭과 길이가 비슷하며 관상수로 많이 심는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2023. 10. 18.
작살나무(마편초과) 열매와 꽃 자주색으로 익은10월의 작살나무 둥근 열매다.         줄기에 마주 나는 잎은 긴 타원형으로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잎 끝이 길게 뾰족하다.                 수락산 10월의 작살나무로둥글게 익은 열매가 달려 있다.    작살나무 꽃봉오리 상태다.   6월의 수락산 작살나무 꽃으로 화관은 4개로 갈라지며겉에 털과 선점이 있다.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작살나무 꽃으로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연한 자주색 꽃이 모여 피는데 향기가 있다.    11월의 빗물 머금은 작살나무 열매    11월의 비 내리던 날의 작살나무로 가지가 줄기를 중심으로양쪽으로 갈라진 모습이 작살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2023. 10. 17.
때죽나무(때죽나무과) 꽃과 열매, 충영(벌레집) 열매 겉면은 수분이 없어 쭈굴쭈굴한 모습을 보인다. 타원형 열매는 연녹색을 띠며 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자갈색이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달걀형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의 톱니가 약간 있거나 없다. 조롱조롱 매달린 때죽나무 열매로 열매껍질이 갈라진 모습을 보인다. 아래는 5월의 때죽나무 꽃 5월의 때죽나무 꽃으로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에 흰색 꽃이 2~5개씩 종 모양으로 밑을 향해 달린다. 때죽나무 꽃 5월의 때죽나무 꽃 때죽나무 일찌감치 꽃을 피웠다가 수정을 끝내고 꽃송이를 통째 떨어뜨린 뒤 암술대만 삐죽 남은 모습이 할 일 다 했다는 듯한 모습이다. 때죽납작진딧물 충영(벌레집) 때죽나무 열매 8월의 때죽나무 열매로 달걀형 모양이며 9월에 익는데 껍질이 벌어지면서.. 2023. 10. 17.
붉나무(옻나무과) 꽃과, 열매, 오배자 10월의 붉나무 붉은색으로 곱게 물든 붉나무 잎으로 양쪽으로 날개가 있다. 10월의 붉나무로 옻나무처럼 가을에 붉은색으로 물든 붉나무 모습도 아릅답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8월의 붉나무 수꽃이다. 9월의 붉나무 아래는 8월의 붉나무 꽃으로 암수딴그루며 가지 끝에 곧게 서는 원추꽃차례에 황백색 꽃이 촘촘히 모여 달리는데 꽃받침조각과 꽃잎, 수술은 각각 5개씩이다. 9월의 붉나무 오배자 9월의 붉나무로 잎자루 날개에 오배자진딧물이 기생하여 만들어진 커다란 혹 같은 벌레집을 '오베자'라고 하는데 속이 비어 있고 맛이 신데 오배자는 타닌 성분이 50~60% 정도 들어있어 한약재로 쓰거나 잉크의 원료로 쓴다. 벌레 혹 안에는 날개가 달린 암 벌레 1만 마리 정도가 들어 있다고 한다. 10월의 붉나무 열매로 익기전 .. 2023. 10. 16.
회잎나무(노박덩굴과) 열매와 꽃 울진 9월의 회잎나무 열매가붉은색으로 익고 있다.   6월의 회잎나무 꽃    회잎나무 꽃으로 6월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에자잘한 황록색 꽃이 핀다. 꽃과 잎이 화살나무와 거의비슷해 구분이 쉽지 않은데 가지에 화살이 없어 구분이 된다.   7월의 회잎나무 열매   10월의 회잎나무 열매    10월의 회잎나무 열매   회잎나무 열매   타원형의 회잎나무 열매로 붉은색으로 익으면껍질이 벌어지면서 주홍색 씨가 드러난다    11월의 회잎나무 열매로 황적색의 헛껍질 속에는 흰색 씨가 들어 있다.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타원형 또는 거 꿀달걀 모양으로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어린 줄기는 녹색이고 날개가 없다.     화살나무와 구분이 쉽지 않지만,가지에 날개가 없는 것으로 구분이 쉽다. 2023. 10. 14.
산수유(층층나무과) 열매와 꽃과 꽃눈 날씨 탓일까? 산수유 제대로 열매를 매지 못하고 있다. 산수유 일찌감치 열매가 익고 있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8월의 산수유에 말매미 한 마리 찾아든다. 잎 뒷면은 검은색으로 반점이 있고 흰빛이 도는 연녹색이며 앞면보다 털이 많다. 열매 익기 전 모습이다. 11월의 산수유 단풍과 함께 붉은색으로 익은 열매가 비를 맞고 있다. 11월의 산수유 열매 비에 젖은 올림픽공원의 11월의 산수유 11월의 산수유 수피 12월의 산수유 12월 산수유 잎 뒷면으로 처음으로 산수유 잎 뒷면을 자세히 보게 된다. 2월의 산수유 꽃눈 2월의 산수유 서서히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는데 짧은 가지 끝의 산형 꽃차례에 노란색 꽃이 둥글게 모여 달린다. 꽃받침 조.. 2023. 10. 13.
옻나무(옻나무과), 개옻나무(옻나무과), 붉나무(옻나무과) 옻나무 옻나무 옻나무 열매 동글납작한 옻나무 열매는 개옻나무 열매 와는 달리 털이 없다. 아래는 개옻나무다. 개옻나무 개옻나무 열매로 익으면 짠맛과 신맛이 나는 흰 가루로 덮인다. 열매도 옻나무는 가지 위쪽으로 열매가 달리지만 개옻나무 열매는 이처럼 아래쪽에 모여난다 10월의 개옻나무 열매로 동글 납작한 열매는 겉에 가시 같은 털이 촘촘하고 황갈색으로 익는다. 개옻나무 일찌감치 붉은색으로 단풍 든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래는 붉나무로 붉은색으로 단풍 든 모습이다. 붉나무로 잎자루 양면으로 두드러진 날개가 뚜렷하다. 붉나무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깃꼴겹잎으로 잎자루 양쪽으로 날개가 있어 개옻나무나 옻나무와도 구분이 된다. 가을이면 붉은색으로 다풍 든 모습도 아름답다. 8월의 붉나무 꽃으로 암수딴그루로 가지 .. 2023. 10. 12.
봉화 백두대간수목원 황칠나무(드릅나무과) 황칠나무로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한국 특산종으로 남해안과 남쪽 섬의 산에서 자란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6~8월에 가지 끝의 산형꽃차례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꽃잎과 수술은 5개씩이며, 암술머리와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진다. 핵과 열매는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황칠'이라 하여 노란색 액체가 나오는데 이것을 가구에 칠하기도 했는데 수액이 묻으면 옻이 옮기도 한다. 평소 황칠나무는 식물원에서나 보아왔는데 대부분 키가 작아 이처럼 큰 황칠나무는 처음 보는데, 같은 나무인가 싶을 정도로 믿기지 않을 정도다. 큰 나무는 키가 15m 정도라니 이 나무도 그 정도이지 않을까 싶다. 수령도 꽤나 될 것 같다. 역사적으로는 중국에 보내는 조공품으로 분류되어, 황칠나무가 자라는 지역 백성들의 고통이.. 2023. 10. 11.
물푸레나무(물푸레나무과) 꽃과 열매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세로로 갈라지며 흰색의 무늬가 있다. 어린 가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다. 8월의 물푸레나무 열매를 달고 있다. 8월의 물푸레나무 열매로 묵은 열매를 달고 있다. 사나사 계곡 물가에 있는 물푸레나무로 옆으로 비스듬히 자리하고 있다. 생가지는 불에 잘 타는 성질이 있으며, 가지를 꺾어 물에 담그면 녹색 물이 우러나서 푸른빛을 띠어 '물푸레나무'라 한다. 물가에만 있어서인지 물푸레나무 수피가 이끼에 뒤덮여 있다. 아래는 5월의 물푸레나무로 새잎이 나오고 있다. 흰색 얼룩무늬가 물푸레나무임을 증명해 보인다. 물푸레나무 꽃 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이지만 양성화도 있고 5월에 새로 자란 가지 끝의 원추 꽃차례에 자잘한 꽃이 핀다. 2023. 10. 10.
큰나무수국(범의귀과) 큰나무수국  장식꽃만 있는 큰나무수국이다.꽃은 7~8월에 피고 유성화(양성화) 없이무성화만 달리며 원뿔모양 꽃차례를 이룬다.꽃받침조각은 꽃잎 모양으로 둥글며흰색이지만 약간 붉은빛이 돌기도 한다.관상용으로 심어진 것은 대부분 큰나무수국이 아닐까? 싶다.    큰나무수국    큰나무수국으로 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형이고 3장씩 돌려나는 것도 있다. 꽃잎처럼 생긴 꽃받침조각은3~5개로 흰색이지만 약간 붉은색이 돌기도 한다.    큰나무수국   큰나무수국으로 꽃은 7~8월에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향성화 없이 무성화(장식꽃)만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타원형 또는 원 모양이고 꽃잎과 같으며 비슷한 종으로 '나무수국'이 있는데 잎이 가늘고 길쭉하며꽃이 무성화와 양성화가 함께 달린다.     10월 말 .. 2023. 10. 10.
모과나무(장미과) 열매와 꽃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잔톱니가 있다. 9월의 12일 청량산 하산길에서 마주한 모과나무인데 모과가 별로 크지 않은 나무에 적당히 달려 있다. 5월의 모과 꽃으로 잎과 함께 분홍색 꽃이 1개씩 달린다. 아래는 10월 모과나무다. 노란색으로 잘 익은 타원형 이과 열매로 향기는 좋지만 신맛이 강하다. 중국이 원산으로 정원수나 가로수로 심는데 나무껍질은 묵은 껍질이 벗겨지면서 얼룩을 남긴다. 10월 홍천의 모과나무 파란 하늘의 모과나무 새털 같은 구름과 함께 하는 배경으로도 담아 본다. 바닥에 떨어진 모과인데 타원형으로 울퉁불퉁하게 생긴 모과는 노란색으로 익는데 향기는 좋지만 맛은 신맛이 강하다. 열매로는 모과를 잘게 썰어 설탕에 재워 두었다가 모과차로 마시거나 모과를 잘게 썰어 소주에 .. 2023. 10. 10.
신나무(단풍나무과) 열매와 꽃 나무껍질은 회색 또는 회갈색으로 전체에 털이 없다. 신나무 9월의 신나무로 시과 열매는 양쪽 날개가 거의 평행하거나 겹쳐진다. 잎자루도 연한 붉은색이다. 9월의 신나무로 잎은 마주나고 세모진 타원형으로 밑 부분이 얕게 3갈래로 갈라진다.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5월의 신나무 꽃으로 5~7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가지 끝의 겹산방꽃차례에 자잘한 연노란색 꽃이 핀다. 5월의 신나무 꽃 5월의 신나무 열매로 양쪽 날개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6월의 신나무 열매 6월의 신나무 열매로 초창기 단풍나무도 종류가 많아 구분이 쉽지 않았는데 다른 단풍나무 종류와는 달리 잎의 길이가 길어 신발을 연상하며 외었던 것이 신나무 이름을 쉽게 구분 편하게 부르게 된 것 같다. 6월의 신나.. 2023. 10. 9.
복자기(단풍나무과) 열매, 복장나무(단풍나무과) 복자기  복자기 열매를 달고 있는데 거의 각이지지 않고 나란히 벌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가을에 붉은색 단풍이 돋보여 개인적으로인상적인 나무이기도 하다. 비슷한 나무로복장나무가 있는데 복자기와 거의비슷하지만, 잎이 복자기 보다 조금 좁으면서 더 길다.    6월의 복자기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가지는붉은빛이 돌며 껍질눈은 백색이다.    10월 붉은색으로 단풍이곱게 물든 백담사 복자기다.    가을에 10월 백담사 복자기 수피 모습이다.      복자기  나무껍질이 종잇장처럼 세로로 얇게 갈라지는데회백색 또는 회갈색이고 잔가지는 황갈색이다.복자기는 나무가 치밀하고 무거우며 무늬가 아름다워고급가구나 합판을 만드는데 귀하게 쓰인다.또 수피에서는 타닌을 채취하기도 하고수액은 고로쇠나무 수액과.. 2023. 10. 8.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꽃과 열매, 쪽동백나무 벌레집 쪽동배나무 열매와 가운데 바나나 송이를 닮은 벌레집이 있다. 쪽동백나무 7월의 쪽동백나무 핵과 열매는 달걀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는 약 2cm 정도며 겉에 잔털이 빽빽이 나 있다. 열매는 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9월에 익는다. 가는잎그늘사초와 쪽동백나무 잎 벌레가 돌돌 말아 놓은 그들의 집, 쪽동백나무 아래서 주웠는데 호기심에 펼쳐보니 아래처럼 별것 없다. 위에처럼 돌돌 말린 다른 쪽동백나무 잎 주워 궁금해서 펼쳐 보았더니 벌레라도 들어 있을까?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별다른 내용 없이 가장자리 빈 고치 흔적은 보이지만 조금 지저분한 모습이다. 실제는 어떤 상태인지 궁금하다. 꽃은 5~6월에 새로 난 가지에서 총상꽃차례에 20여 개의 흰색 꽃이 촘촘히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9개로 꽃부리는 5.. 2023. 10. 8.
참회나무(노박덩굴과) 꽃과 열매 9월의 둥근 참회나무 열매로 붉은색으로 익으면 5갈래로 갈라진다. 관악산 계곡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참회나무인데 열매에 벌레들이 달라붙어 있다. 어떤 것이 이들을 달라붙게 하는지 열매들이 딱해 보인다. 참회나무 수피로 회색이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참회나무 열매인데 익어서 껍질이 5갈래로 벌어져 속에 씨가 드러난다. 껍질에 날개가 없어 나래회나무와 구분이 된다. 5월의 참회나무 꽃으로 꽃잎은 5장이며 취산꽃차례에 녹자색 또는 연녹색 꽃이 핀다. 5월의 참회나무 꽃 2023. 10. 7.
오갈피나무(두릅나무과) 꽃과 열매, 섬오갈피나무(두릅나무과) 꽃 오갈피나무에 사위질빵 덩굴이 타고 오르고 있다.      열매는 편평한 장과로 타원형이며 공처럼둥글게 모여 달린다. 10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오갈피 열매   계곡물이 흐르는 도로변에 자리하고 있다.     오갈피나무     오갈피나무로 높이는 3~4m 정도로 자라며내한성과 내공성이 강해 어디서나 잘 자라는데해가 잘 드는 곳으로 습기가 많은 곳이 더 잘 자란다.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퍼진다.9월 11일 울진금강소나무 숲 탐방 후 하산 길계곡 주변에 심어진 오갈피나무로 열매를 맺고 있다.     8월의 오갈피나무 꽃으로공처럼 둥글게 모여 핀 모습이다.   아래는 8월 말의 오갈피나무다.   8월 말 오갈피나무 꽃에큰흰줄표범나비 한 마리 꽃을 찾는다.     예로부터.. 2023. 10. 6.
산딸나무(층층나무과) 꽃과 열매 탱글탱글 붉은색으로 익은 열매는 단맛이 나 먹을 수 있다. 9월의 산딸나무로 울진금강소나무 숲 탐방 후 하산 길 가로수로 심어진 산딸나무인데 열매도 아래와는 달리 열매가 듬성듬성 달린 모습이다. 아래는 8월의 산딸나무다. 등산길 땅에 떨어진 산딸나무 열매인데 나무는 둘러봐도 보이지 않은 채 발길 돌리게 된다. 8월의 산딸나무가 주렁주렁 붉은색으로 잘 익은 모습이다. 8월의 산딸나무 열매 풍년이다. 아래는 위와 같은 곳의 산딸나무인데 아직 푸른색으로 온도차를 보인다. 8월의 산딸나무 산딸나무 꽃으로 가지 끝의 두상꽃차례에 꽃이 피고 십자 모양으로 된 4장의 흰색 총포조각이 꽃잎처럼 보인다. 층층나무를 닮은 산딸나무가 꽃을 피우고 있는데, 마치 나비들이 날아와 나풀나풀 날갯짓을 하는 것 같다. 산딸나무 수피.. 2023.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