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서울대공원식물원158

새우난초(난과) 남부지방의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고염주모양으로 마디가 많고 잔뿌리가 돋는다. 4~5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꽃줄기에 어두운 갈색으로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10개가 달린다. 꽃잎은흰색, 연한 자주색 또는 진한 자주색으로 입술 꽃잎은 3개로 깊게 갈라진다.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고 주름이 있다. 2025. 1. 31.
덴파레(난초과) 봄, 여름, 가을, 겨울 꽃이 오래도록 계속 피어 향은별로 없지만 화려한 꽃이 피는 데 꽃색은 빨강 , 보라, 노란, 흰색 등 혼합색으로 핀다. 관상가치가 높다. 2025. 1. 30.
극락조화(파초과) 극락조화로 높이는 1~2m 정도로 잎은 혁질이며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잎 길이는 40cm 정도다. 절화로 잎의 형태가 열대 지방에 사는 극락조를 닮아'극락조'라 한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에 5종이 난다. 2025. 1. 22.
시클라멘(앵초과) 시클라멘으로 덩이줄기의 다년생 구근식물로 꽃은 11월에서 3월까지 피는데 줄기 끝에1개의 꽃이 피는데 보라색, 분홍색, 흰색, 빨강 등꽃 색이 다양하다. 겨울철에는 실내에서재배가 가능하다. 잎은 하트모양과 같은 계란형이다. 2025. 1. 22.
과박(도금양과) 원산지는 브라질로 늘푸른떨기나무다.높이는 5~10m로 정도로 잎은타원형으로 암녹색이며 흰색 꽃을 피운다. 2025. 1. 19.
후피향나무(차나무과) 상록 큰키나무로 수피는 옅은 갈색이며 높이는15m 정도다. 가지는 돌려나기 하며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나기 하는데 거꿀피침모양 또는 피침형으로 가죽질이다.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윤채가 있고 뒷면은 황록색이며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다. 2025. 1. 19.
온시디움(난초과) 아메리카의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착생란으로노란색 바탕에 붉은색 무늬가 있는데 많은 종류가 있다. 잎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난다. 2025. 1. 19.
워싱토니아 야자 오래전 서울대공원 식물원의 '워싱토니아'로사람으로 말하자면 장발족이랄까? 전혀 손질받지 않은 순수한 모습이어서 더 시선을 끈다. 워싱토니아는 미국 워싱톤 대통령의 이름을 따서 지었는데 잎에실 같은 가는 줄이 붙어 있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2025. 1. 14.
드라세나 자바(백합과) 꽃 공기정화식물로 잎은 가늘고 길며 아래로 늘어 진다. 이제 막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2024. 1. 29.
백량금(자금우과) 열매 붉은색으로 탐스럽게 익은 열매가 시선을 끈다. 핵과 열매는 이듬해 봄까지 매달려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긴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1m 높이로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줄기나 가지 끝의 산형꽃차례에 자잘한 흰색 꽃이 모여 달려 밑으로 늘어진다. 2024. 1. 29.
대추야자(야자나무과)열매 깃골겹잎이 우산처럼 끝에 우산처럼 펼쳐지며 종려나무와 비슷한 모습을 한다. 원산지는 서부 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추측한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10월에 피며,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녹색에서 노란색을 거쳐 붉은색으로 익는다. 익은 열매는 달고 영양분이 풍부하다. 2024. 1. 29.
공작야자(야자나무과) 원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며 관상식물로 한국에는 1965년에 들어왔다. 야생종은 높이 15~20m 자라지만, 관상용은 2~4m이다. 잎은 깃꼴겹잎으로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가는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암수한그루며 자줏빛이고 열매는 공 모양으로 붉은빛을 띤다. 2024. 1. 20.
카틀레야(난초과) 꽃 기생 또는 착생식물로 아메리카 열대 지방이 원산지며나뭇가지에 붙어서 자라는데 전 세계에 약 65종이 있다.꽃은 흰색, 붉은색, 분홍색, 자줏빛을 띤 붉은색, 노란색 등 다양하다.일 년 내내 꽃을 피우는 품종도 있는데 꽃이 크고 화려하여  자생지에서는 나뭇가지에 붙어서 자라도 예쁘기만 할 것 같다. 2024. 1. 18.
소엽풍란(난과) 꽃 원산지는 한국 남부지방으로 여러해살이풀이며전라남도와 경상남도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 자생한다.꽃은 7월에 흰색으로 피며 향기가 있는데바람을 타고 그 향기가 멀리 퍼져나간다고 해서풍란이란 이름을 갖게 되는데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영명은 sickle neofinetia 학명: Neofinetia falcata (Thunb.) Hu 2024. 1. 18.
나한송(나한송과) 상록성 교목 또는 관목으로 높이는 5m로 암수딴그루 또는 암수한그루다. 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하나 또는 모여 달리고 원기둥 모양이고 자루는 있거나 없다. 원산지는 중국, 일본으로 한국에는 2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울타리나 정원수로 심는다. 2024. 1. 18.
다육식물 십이지권(나리과) 꽃 꽃은 별 모양으로 꽃잎이 뒤로 말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케이프 주로 잎은 긴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줄기는 없으며 잎은 로제트형으로 두껍고 모양은 다양하다. 대표종으로 십이지권(十二支券: Haworthia fasciata) 등이 있다. 2024. 1. 14.
포르투라세아(돌나물과) 꽃은 이른 봄 가지 끝에 별 모양의 핑크색을 띤 흰색으로 핀다.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줄기는 굵고 가지가 많이 나온다. 주걱 모양의 잎은 어두운 녹색으로 잎 가장자리는 적색으로 식물원에서는 11~12월에 꽃이 피기도 한다. 두툼한 잎을 가진 다육식물이다. 2024. 1. 14.
몬스테라(천남성과):Monestera deliciosa 덩굴성 관엽식물로 잎에 숭숭 구멍이 나 있어 특이한데 폭우와 강한 바람에도 잘 견딜 수 있다. 잎이 어긋나고 진녹색으로 크고 광택이 나며 큰 것은 직경 2~15m 정도며 마디에서 기근(氣根)이 내려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간다. 꽃은 육수꽃차례에 흰색으로 향기가 나며, 열매도 달린다. 멕시코 원산으로 온실에서 재배한다. 2024. 1. 9.
벌레잡이제비꽃 모라넨시스 꽃줄기는 1~3개가 나오는데 끝에 제비꽃처럼 생긴 자주색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길이는 2~4mm이다. 상순은 2개, 하순은 3개로 갈라진다. 벌레잡이제비꽃(통발과)으로 여러해살이풀인 벌레잡이식물이다. 고산지대의 습한 암벽이나 습원에서 자라는데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약간 안쪽으로 말리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은 연한 녹색으로 옆편에 선모가 나 점액을 분비하여 작은 벌레를 접는다. 삭과 열매는 둥글고 2개로 갈라진다. 벌레잡이오랑캐라고도 하며 북반구의 한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2024. 1. 3.
식충식물 긴잎끈끈이주걱 긴잎끈끈이주걱 꽃 벌레잡이 식충식물 꽃 202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