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야생초(꽃)들과의 만남5954

미국실새삼(메꽃과)꽃 미국실새삼으로 환삼덩굴에 기생하며 자라고 있는데 줄기는 길이가약 50cm 정도로 실처럼 가늘고 노란색으로 다른 식물체가 있으면 왼쪽 감기로 덩굴을 뻗으며 다른 식물로부터 양분을 빨아들이면서자라는데 잎은 없다. 꽃은 8~9월에 줄기의 군데군데 수상꽃차례에흰색 꽃이 뭉쳐서 피는데 통꽃은 꽃받침과 꽃부리 등 다섯 조각으로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대는 2개로 열매는 공 모양이고 9~10월에익는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풀밭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비슷한 종류로 콩과 식물에 기생하는 실새삼과는 달리 모든 식물에 기생한다. 2025. 7. 12.
하늘말나리(백합과) 7~8월에 줄기 끝에 갈라진 가지마다 황적색 나리꽃이 하늘을 보고 핀다. 6장의 꽃잎 안쪽에는 짙은 자주색 반점이 있다.줄기는 1m 정도 높이로 곧게 자란다. 줄기 중간 부분에 6~12개의 피침형 잎이 돌려나고 윗부분에는 작은 잎이 어긋난다. 2025. 7. 11.
고슴도치풀(아욱과)꽃과 열매 하천변 다리 밑 매년 이곳에는 한해살이풀인 고슴도치풀이 자라고있는데 그동안 어느 해보다 올해는 풍성한 모습이다. 꽃은8~9월에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에 노란색 꽃이 핀다. 꽃잎은 5개로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수술은 10개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넓은 줄 모양으로 털이 약간 있다. 열매는 둥근 삭과로10월에 익는데 겉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8월의 고슴도치풀 꽃 8월의 고슴도치풀 꽃 고슴도치풀 새잎을 내고 있다. 아래는 고슴도치풀 열매다. 고슴도치풀 열매로 겉이 갈고리 같은 가시로 덮여 있어 '고슴도치풀'이라 한다.길가나 빈터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원기둥 모양의 줄기는 60~130cm 정도로 자란다. 2025. 7. 10.
깨풀(대극과) 9월의 깨풀 한해살이풀로 길가나 빈터, 집 주변 등 흔하게 자란다.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잎자루가 길며 깻잎을 닮은 모습이다.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 갈색 꽃이 핀다. 수꽃은윗부분에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포는 갈색으로 기부에달리는데 암꽃을 둘러싼다. 보통 2개의 암꽃이 달린다. 2025. 7. 9.
털별꽃아재비(국화과), 별꽃아재비(국화과) 털별꽃아재비로 길가나 풀 밭 어디서나 흔하게자라는 한두해살이풀로 귀화식물이다. 보통 가축의사료로 쓰인다. 대부분 길가에서 흔하게 만나는 것은털별꽃아재비로 별꽃아재비는 흔하지 않은 것 같다.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의자잘한 흰색 꽃이 피는데 혀꽃은 5개로 흰색이다.가운데는 꽃잎이 없는 노란색 통꽃이 촘촘히 모여 있다. 일 년생 가지나 줄기 마디에는 흰색 긴 털이 있다. 아래는 털별꽃아재비와 비슷한 종류로 별꽃아재비가 있는데털별꽃아재비에 비해 털이 적고, 혀꽃도 크기가 작은 것으로 구분이 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주로 남부 지방의들이나 길가, 빈터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5~8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자잘한 흰색 꽃송이가 달린다.'털별꽃아재비'에 비.. 2025. 7. 8.
등골나물(국화과), 골등골나물(국화과) 산과 들의 풀밭에서 1m 높이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원줄기에 가는 털이 있고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다.7~10월에 줄기 끝의 산방꽃차례에 흰 자줏빛으로 핀다. 아래는 골등골나물이다. 골등골나물로 꽃은 연한 자주색으로7~10월에 줄기 끝의 산방꽃차례에 자잘한 연분홍꽃이나 흰색 꽃이 모여 핀다. 골등골나물로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있다. 피침형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아래에서 3갈래로갈라지고 가운데 잎만 크고 나머지는 작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아래는 향등골나물 향등골나물로 꽃은 7~10월에 원줄기 끝의편평꽃차례에 연한 자주색 꽃이 달리는데 향기가 있다. 2025. 7. 8.
밀나물(백합과)열매와 꽃 밀나무 열매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며 2~3m 길이로 벋는 줄기는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형 잎은 끝이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7월에 잎겨드랑이의 산형꽃차례에 황록색 꽃이 둥글게 모여 핀다. 둥근 열매는 검은색으로 익으며 흰 가루로 덮인다. 2025. 7. 8.
옥잠난초(난초과)꽃과 열매 나무에 착생한 옥잠난초 열매를 달고 있다. 옥잠난초로 묵은 열매를 달고 있다. 옥잠난초 꽃이 피었는데늦게까지 묵은 열매가 남아 있다. 인적이 드문 곳 누가 꽃대를 잘라 버린듯한데 곤충들의 짓이 아닐까 싶다. 땅 위 또는 다른 나무에 착생하는데 마치제 자리인양 자리 잡고 옥잠난초 꽃을 피우고 있다. 산의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20~30cm 정도다. 꽃은 6~7월에 잎 사이에서 자란 꽃줄기 끝에 연한 녹색 바탕에 자줏빛이 돌며 꽃이 돌려가며 난다. 계곡 가장자리에 나란히 자리한 옥잠난초로 꽃을 피웠다가 대부분 꽃이 지고 일찌감치 열매를 달고 있다. 2개의 잎이 묵은 줄기 옆에서 나오는데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에주름이 지며 밑 부분이 잎.. 2025. 7. 7.
참새귀리(벼과)꽃과 열매 참새귀리 익은 열매 아래는 5월의 참새귀리다. 참새귀리 열매 참새귀리 하천 변에는 참새귀리가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는데 한해살이풀로 돌려나는 줄기는 녹색으로 바로 서서자라는데 차츰 긴 타원형 이삭이 돌려나며 줄기는 땅에가까이 휘어진다. 꽃은 6~7월에 밝은 녹색으로 피는데가지가 각 마디에서 4~6개씩 달린 작은 꽃이삭은 한쪽방향으로 달린다. 참새귀리는 '참새'와 '귀리'의 합성어다.보리가 익을 때쯤 참새귀리도 보리이삭처럼 변한다. 2025. 7. 7.
애기풀(원지과)열매와 꽃 애기풀 열매 ' 애기풀 열매 아래는 5월의 애기풀 꽃이다. 4월의 애기풀 꽃 애기풀 꽃으로 4~5월에 잎겨드랑이에 나비 모양의 연한 자주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으로 꽃잎처럼 보이며 양쪽 2장이 날개모양으로 되며 더 크다. 꽃잎은 3장으로 밑에서 서로 붙는다.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약 20cm 정도다. 줄기는 가늘고 단단하며 밑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이들도 주로 묘지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열매는 삭과로 동그스름한 모양으로 납작하며 2개의 포가 있고 9월에 익는데 넓은 날개가 있다. 꽃이 매우 작아 담기가 쉽지 않다. 한방에서는 과지금이라는 약재로 쓴다. 2025. 7. 7.
달뿌리풀(벼과), 갈대(벼과) 달뿌리풀이 자라는 곳 달뿌리풀이 자라는 곳으로 풍경으로 담아본다. 달뿌리풀 달뿌리풀로 뿌리줄기가 땅 위로 뻗고윗부분의 잎집은 자색을 띠고꽃도 갈대보다 더 엉성한 느낌을 준다. 아래는 갈대다. 줄기는 녹색으로 속이 비어 있고 곧게 서며마디에 털이 있다. 기다란 선형 잎은 어긋나며 끝이길게 뾰족하다.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11월의 갈대로 줄기 끝에 많은 자주색 꽃이피어 전체적으로 원뿔 모양 꽃차례를 이룬다. 2025. 7. 6.
실새풀(벼과) 6월의 실새풀 6월의 실새풀 8월의 실새풀로 풀밭에서 흔하게 만나게 되는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60~150cm로 가는 줄기는곧게 서서 자라며 모여 난다. 잎의 길이는 30~60cm이다.꽃은 8~9월에 황록색 또는 자줏빛을 띠며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1월의 눈을 맞고 있는 실새풀이다. 2025. 7. 6.
토끼풀(콩과), 네잎클로버 꽃은 6~7월에 길이 20~30cm 정도의꽃자루가 있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나비 모양의 흰색 꽃이 둥글게 모여 핀다. 네 잎클로버 네잎클로버로 대부분 잎이 3장이지만때로는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네잎클로버다. 네잎클로버 토끼풀로 보통은 3개이지만 때로는 4~5개까지 있다.5개는 극히 드문 경우지만 하늘 공원에서 운 좋게 만나게 된다. 2025. 7. 5.
애기메꽃(메꽃과)과 메꽃(메꽃과), 호리꽃등에 애기메꽃에 호리꽃등에 한 마리 꿀을 빨고 있다. 꽃자루 윗부분에 날개가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긴 세모꼴 잎은 양쪽 밑부분이 2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 속의 암술머리가 2개로 갈라진다. 메꽃과 비슷하지만 애기메꽃은 꽃이 더 작다.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 끝에나팔 모양의 연한 분홍색 꽃이 1개씩 달린다.들에서 흔히 자라는 덩굴지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아래는 메꽃이다. 덩굴지는 여러해살이풀로 넓은 피침형 잎은 밑 부분이 화살촉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뿌리는 흰색의 땅속줄기가사방으로 길게 벋으며 땅속줄기 군데군데 덩굴줄기가 나와 다른물체를 감고 오르며 자란다. 꽃은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자란긴 꽃자루 끝에 나팔 모양의.. 2025. 7. 5.
왕원추리(백합과), 홑왕원추리(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에 50~100cm높이로 꽃줄기 끝에 나팔 모양의 주황색 꽃이 핀다. 아래는 홑왕원추리다. 홑왕원추리로 위의 왕원추리와는 달리 꽃이겹꽃이 아닌 것으로 구분이 된다. 꽃은 7~8월에꽃줄기 끝에 나팔 모양의 주황색 꽃이 핀다. 2025. 7. 4.
둥굴레(백합과)열매와 꽃 둥굴레 열매 둥굴레 열매 둥굴레 열매로 검은색으로 익는다. 둥굴레 꽃으로 잎겨드랑이에백록색 종 모양의 꽃이 1~2개가 달린다. 2025. 7. 2.
윤판나물(백합과)열매와 꽃 6월의 윤판나물로 산의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곧게 서는 줄기는 30~60cm 정도며 모가지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한데밑부분은 둥글며 3~6개의 잎맥이 뚜렷하고 잎자루는 짧다. 아래는 5월의 지장산 윤판나물 꽃이다. 5월의 유판나물 꽃으로 4~6에 가지 끝에 1~3개가밑을 향해 달리는데 2cm 정도의 노란색 꽃이 핀다.꽃자루는 짧고 꽃잎과 수술은 각 6개씩이다. 아래는 10월의 윤판나무 익은 열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지름이 1cm정도며 가을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2025. 7. 1.
왜당귀((미나리과) 왜당귀로 풀 전체에 특이한 향기가 있는데 일본 원산으로일정시대 이식해 왔으며 여러살이풀로 줄기는 60~90cm로곧게 자라며 줄기와 잎자루는 검은 자줏빛이 돌고 털이 없다.뿌리 잎은 1~2회 3출엽이다.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있으며 긴 잎자루 밑 부분은 잎집으로 된다. 꽃은 8~9월에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겹우산꽃차례에 자잘한 흰색 꽃이 핀다. 2025. 7. 1.
벌개미취(국화과)꽃과 네발나비 네발나비와 벌개미취 벌개미취와 네발나비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잎은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점차 좁아져잎자루처럼 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잎은 단단하며 털은거의 없다. 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연한 자주색 꽃이 달린다.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는데 습지에서 자라는 한국의 특산식물로 번식력이 강하며 무리 지어 자라는 특성이 있어 식물원 같은 곳에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데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토양 고정 능력이 있어 토사 고정 유출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2025. 7. 1.
속새(속새과) 냇가나 계곡 주변, 습지에서 자라며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땅 가까운 곳에서 여러 개로갈라져 나온다. 포자 번식으로 꽃은 피지 않는다. 화분 속의 속새 속새 2025.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