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초(꽃)들과의 만남5783 눈꽃 2025. 1. 31. 삽주(국화과) 열매와 꽃 1월 늦게까지 남아 있는 삽주 열매 삽주꽃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흰색으로 피며 암수딴그루다. 삽주 꽃 삽주 열매 관악산 바위를 배경으로 자라는 삽주로 전국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창출, 선출이라고도 하며 뿌리줄기에 방향성정유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아트락틸론(Atractylon)으로 후각을 자극하여 위액 분비를 촉진한다. 식욕부진 위장염, 발한, 해열, 진통, 건위 등에 효과가 있다. 2025. 1. 30. 어저귀(아욱과) 열매와 꽃 어저귀 열매 어저귀 열매 어저귀 열매 바닷가에서 만난 어저귀 열매로 종지 모양의 열매는 삭과로갈색으로 익는데 씨는 3~5개가 들어있는데 겉에 털이 있다. 8월의 어저귀로 인도 원산이며 섬유 직물로 재배하였으나 주변 빈터로 퍼져 야생화로 되었으며 한해살이풀이다.곧게 자라는 줄기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깔깔한 털이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심장형으로 둥글고잎자루가 길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8~9월에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1개씩 피며, 꽃잎은 5개로노란색이며 거꿀달걀모양이며 꽃받침은 잔 모양으로 5개로 갈라진다. 2025. 1. 30. 도깨비바늘(국화과) 열매와 꽃 바늘처럼 생긴 씨의 끝부분에는 4개의 가시 같은 털이 있어 다른물체에 잘 달라붙는다. 풀 숲을 지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이 도깨비바늘에 걸려들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귀찮은 존재다. 도깨비바늘꽃 도깨비바늘꽃으로 가지 끝에노란색 꽃이 피는데 혀꽃이 1~3개다. 도깨비바늘 익기 전 열매 모습 8월의 도깨비바늘 11월의 도깨비바늘 열매를 달고 있다. 2025. 1. 26. 박하(꿀풀과) 열매, 층꽃나무 (마편초과) 잎도 없이 앙상한 열매만 남아 있으니 장담하기는 힘들지만열매가 달린 분위기로 봐서는 박하가 아닐까? 싶은데 전초 모습사진이 없어 아쉽다. 층꽃나무(마 편 초과)도 의심해 볼 수 있는데,만일 박하라면 한때는 약용으로도 재배를 했던 것이다. 높이는 50cm 정도로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자라는데 네모진 줄기는 곧게 자라며 특이한 향이 있는데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꽃은 7~9월에 윗부분과 줄기의 잎겨드랑이에 연한 자주색으로 핀다. 아래는 11월의 통령 사량도 층꽃나무가 있는풍경으로 담아본 것인데 참고 자료로 올려 본다.열매로만 보면 쉽게 구분이 되지 않는다. 통영 사량도 바닷가의 층꽃나무로 열매 달린모습이 박하와 거의 비슷한 분위기다. 줄기윗부분은 겨울에 말라죽으며 잔가지는 적갈색.. 2025. 1. 26. 풍선덩굴(무환자나무과) 열매와 꽃 풍선덩굴은 덩굴성으로 꽃은 8~9월에 잎보다 긴꽃자루 끝에 흰색으로 피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4개씩이지만 크기가 다 다르다. 월동이 되지 않으므로한해살이풀로 본다. 남아메리카 원산이다. 열매는꽈리 같이 생겼으며 1개의 씨가 들어 있는데 9월에 익는다.열매가 풍선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아래는 10월의 풍선덩굴 열매다. 10월의 풍선덩굴 열매와 함께 꽃을 달고 있다. 1월의 풍성덩굴 열매 아래는 9월의 풍선덩굴 열매로 평소 가끔 볼 수는 있었지만꽃은 보기가 쉽지 않은데 강원도 인제 야생화 탐사 출사 길에 잠시 들른 어느 휴게소에 심어진 풍선덩굴에서운 좋게 꽃도 함께 담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9월의 풍선덩굴 꽃 9월 풍선덩굴 꽃을 찾은 꽃등에 한 마리 .. 2025. 1. 24. 산수국(범의귀과) 열매와 꽃 산수국 삭과 열매는 달걀현 또는 타원형으로가을에 익는데 겨울에도 늦게까지 남아 있다. 이른 봄 산수국 새순과 함께 있는 열매 모습이다.장식꽃이 열매와 함께 마른 상태로 그대로 달려 있다. 아래는 6월 화악산의 산수국이다. 바위틈 산수국으로 꽃이 피기 전 모습이다. 산수국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높이는 1m정도로 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중부 이북의 산에서 자라는낙엽관목으로 어린 가지는 연녹색이며 털이 빽빽하다. 산수국 꽃 산수국 꽃으로 7~8월에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달리는데 연한 남색 꽃이 둥글게 모여 핀다. 꽃차례가장자리에 꽃잎처럼 생긴 꽃받침조각을 가진 장식꽃이둘러 피는데 꽃받침조각은 3~5개.. 2025. 1. 21. 물레나물(물레나물과) 열매와 꽃 8월의 화악산 물레나물로 잎도 다 떨어지고앙상한 가지와 열매만 남아 있는데 삭과 열매길이는 12~18m로 종자에는 작은 그물맥이 있다. 가운데 붉은색의 많은 수술과 중앙에 암술 1개가 있다.암술대는 5갈래로 갈라지며 길이가 수술과 비슷하다. 물레나물 꽃으로 5장의 꽃잎이 선풍기 날개처럼 생겼으며물레바퀴가 도는 모양과 비슷해 붙여진 이름이다.가운데 붉은색의 많은 수술과 중앙에 암술 1개가 있다.암술대는 5갈래로 갈라지며 길이가 수술과 비슷하다. 8월의 화악산의 물레나물 열매로삭과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작은그물맥이 있고 한쪽에 모가 난 줄이 있다. 2025. 1. 20. 좀바위솔(돌나물과) 꽃받침에 보라색 점이 있다. 화분에서 꽃을 피우고 있는 좀바위솔이다. 아래는 10월 자연에서의좀바위솔 자라는 모습이다. 자연에서의 좀바위솔로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15cm 정도로 주로 깊은 산 바위 위에서 자란다.잎은 비늘 모양으로 긴 타원형이며 끝이 날카롭다.9~10월에 홍자색 꽃이 이삭꽃차례로 달리고 포는 달걀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에 보라색 점이 있으며곁꽃잎은 5장으로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10개로자홍색이며 길이가 길다. 열매는 10~11월에 익는다. 2025. 1. 18. 상고대 억새(벼과), 갈대(벼과) 억새 억새 아래는 갈대다. 2025. 1. 16. 미국쑥부쟁이(국화과) 상고대 열매와 꽃 늦게까지 남아 있는 소양호의 미국쑥부쟁이열매의 상고대 모습이다. 마치 눈꽃이 내린 듯 공기 중 떠돌던 액체 상태의 작은 입자가 어쩌다 찬공기와 부딪히며 얼음상태가 된 것이다. 1월의 미국쑥부쟁이 열매 1월의 미국쑥부쟁이 열매 아래는 12월의 미국쑥부쟁이 열매다.짧은 털이 있고 관모는 흰색이다. 화악산 바위틈 미국쑥부쟁이 갓 꽃을 피운 모습이다.꽃은 9~10월에 가지 끝마다 두상꽃차례의 흰색꽃이 1개씩 달린다. 산지 들판이나 길가의 풀밭에서흔하게 자라는데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11월의 미국쑥부쟁이로 꽃송이 가장자리에는15~25개의 흰색 혀꽃이 빙 둘러 있고 가운데에는꽃잎이 없는 노란색 통꽃이 촘촘히 달린다. 미국쑥부쟁이 꽃 미국쑥부쟁이 11월의 꽃으로화려함의.. 2025. 1. 16. 일일초((협죽도과) 북아메리카 및 마다가스카르섬 원산으로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9월에 붉은색 꽃이연달아 피는데 분홍색이나 흰색 꽃도 있다. 2025. 1. 11. 천사의나팔꽃/엔젤트럼펫(가지과) 천사의 나팔(Angel's Trumphet)로 한해 또는여러해살이 식물로 이름과는 달리 유독성 식물로주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데 꽃은 아래를 보고 핀다. 2025. 1. 9. 큰열매시계초(시계꽃과) 5개의 꽃잎과 5개의 포가 있다. 자생지는아르헨티나, 브라질로 스페인 선교사들이발견하여 예수님 수난의 꽃이라 불리며꽃이 4개월간 가는데 향기가 있으며 화려한꽃송이가 시선을 끈다. 참외만한 노란색 열매가달리는데 브라질에서는 고급과일이다. 아래는 시계초(시계꽃)이다. 2025. 1. 8. 가자니아(국화과)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여러해살이풀로 반 내한성이지만우리나라에서는 한해살이풀로 분류된다. 잎은 바소꼴로 흰 털이 있고 꽃은 7월부터 계속 피며 노란색, 주황색 꽃이 핀다. 줄기 밑부분은 목질화되고 좁으며 피침형으로 뒷면은 백록색이다. 2025. 1. 8. 쥐방울덩굴(쥐방울과) 열매와 꽃 가을에 익는 열매는 6개로 갈라지며 따로따로 가는 실처럼 갈라진 꽃자루에매달려 마치 낙하산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열매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 있다.가장자리에 날개를 달고 있다. 대롱대롱 나란히 매달린쥐방울덩굴 열매가 시선을 끈다. 빗방울 머금은 쥐방울덩굴 꽃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꽃잎이 없는 여러 개의 연녹색 꽃이 핀다. 윗부분이 고깔처럼 벌어져 있는데 한쪽은 끝이 길고 뾰족하며 끝이 위를 향하고 있다. 밑 부분은 둥글게 부풀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심장형으로 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뒷면은 약간 흰 가루로 약간 덮여 있다. 7월의 쥐방울덩굴로 삭과 열매는둥글며 지름은 3cm 정도다. 쥐방울덩굴 열매로 꽃받침늦게까지 잎.. 2025. 1. 7. 장구채(석죽과) 열매와 꽃 12월의 장구채 열매 2월의 장구채 열매로 긴 달걀형이며 익으면끝이 6개로 갈라지면서 씨가 나온다. 금방이라도검은색 씨가 튀어나올 것만 같은 분위기다. 장구채 꽃으로 10개의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장구채 꽃으로 7~9월에 잎겨드랑이의취산꽃차례에 흰색 꽃이 피는데 꽃잎은 5장이며 끝이 2개씩 갈라진다. 꽃받침은 둥근 항아리 모양이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30~80cm 정도로 털이 없고 밋밋하며자줏빛이 도는 녹색이지만 마디 부분은 흑자색이다. 11월의 장구채 꽃 2024. 12. 29. 부들(부들과), 애기부들(부들과) 줄기 끝에는 수꽃이삭이 달리고 애기부들과는 달리 간격을 두지 않고 바로 그 밑에 둥근 원통형 적갈색암꽃이삭이 달린다. 연못가나 습지에서 자라는여러해살이풀로 잎이 부드럽기 때문에 '부들'이라 한다. 아래는 애기부들이다. 애기부들로 대부분 줄기 끝에 수꽃이삭이 달리고 바로밑에 간격을 두고 암꽃이삭이 달리는데 부들과 다른 점이다.연못가나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8월에피는데 암수한그루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적갈색이며 씨가익으면 꽃이삭은 부풀어 씨가 1개씩 털로 싸여 바람에 날아간다. 2024. 12. 29. 참쑥((국화과) 참쑥의 뒷면에 흰색 솜털이 덮인 모습을 보인다. 참쑥으로 여러해살이풀이며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어번식을 한다. 줄기는 곧추서고 약간의 가지를 치기도 하며거미줄 같은 흰색 털로 덮여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2회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며 거미줄 같은 흰색 털과 점이 있고,뒷면은 회백색이며 위로 올라 갈수록 작아져서 선형으로 된다.꽃은 8~9월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총포에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열매는 수과로 털이 없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 가능하며쑥떡을 하거나 큰 것은 뜸이나 산후의 약으로 이용된다. 2024. 12. 25. 선자령 질경이(질경이과) 꽃과 열매 선자령의 길 가장자리에는 눈에도 잘 띄지 않을정도로 낮은 자세의 질경이들이 군락을 이루는데 사람들이 그대로 밟고 지나가도 표시가 나지 않을 정도다. 길가나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질경이선자령에도 터를 잡고 무리 지어 살고 있다. 산의 임도에 질경이 꽃을 피우고 있는데 원줄기는없고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옆으로 비스듬히 퍼지는데 잎자루가 길다. 길가에서 사람의 발자국소리를 들으면서 살아간다는 멸가치처럼 질경이는 이름 그대로 매우 질기고 강해 사람들에게 밟혀도 그대로 잘 견디며 살아간다. 꽃은 6~8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끝에 수상꽃차례에 자잘한 흰색 꽃이 모여 핀다. 질경이 근생엽으로 잎은 줄기가 없고뿌리에서 뭉쳐 나온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 2024. 12. 24. 이전 1 2 3 4 ··· 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