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식충식물16

식충식물 사라세니아와 꽃, 벌레잡이제비꽃, 파리지옥과 꽃 사라세니아는 식충식물로 북아메리카 원산이며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나팔처럼 속이 비어 있는데 윗부분에 뚜껑처럼 보이는 잎조각이 있는데, 녹색 바탕에 붉은색, 자주색 등의 무늬가 있다. 원통 같은 안쪽에는 꿀을 분비하여 각종 벌레들을 유인하는데 안쪽에는 밑을 향한 털이 있어 한 번 통 속에 빠진 벌레들은기어 나올 수가 없이 이들의 먹이가 된다. 뚜껑이 열리기전에는 액체에 방부제가 들어 있고 열린 다음에는 소화효소가들어 있어 액체 속에 들어 있는 벌레들을 소화시킨다. 사라세니아 꽃 사라세니아 꽃으로 4~5월에 잎이 없는 꽃줄기 끝에 1개씩밑을 향해 달린다. 꽃잎은 5개로 며칠 후 떨어지지만 꽃받침은 떨어지지 않으며 암술 끝은 우산처럼 퍼지는데 꽃은 자주색,자홍색, 노란.. 2025. 4. 27.
부천식물원의 네펜데스(벌레잡이통불과) 네펜데스 포충낭 식충식물의 일종이며 통입구에 뚜껑 같은 덮게가 있는데 여닫지는 않는다. 뚜껑과 통 입구에 꿀샘이 있어 벌레를 유인하고 통 속으로 떨어진 벌레들은 통입구가 미끄럽기 때문에 나오지 못하는데 통 속에는 소화액이 분비되므로 벌레는 소화 흡수 된다. 원산지는 보르네오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시아며 상록 덩굴식물로 온실에서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다. 중국 남부, 인도차이나와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자라는데 특히 스마트라섬과 보르네오섬에 종류가 많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4m 정도 자란다. 2024. 1. 8.
네펜데스 토바이카(벌레잡이 통풀과) 식충식물로 직사광선을 피하고 약한 빛이 있는 고온다습 조건에서 잘 자라는데 원산지는 필리핀, 보르네오, 스마트라다. 과즙은 분비하는 분비선이 안쪽에 있는데 이 과즙을 먹으러 오는 곤충이 주머니에 다가오게 되면 주머니 속으로 빠지게 되는데 주머니 속 용액은 약한 점성이 있어 한 번 빠진 곤충은 다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소화액은 아래쪽에 있어 곤충울 소화시켜 영양을 흡수한다. 주머니는 종류에 다라 모양과 색이 다르다. 2023. 1. 7.
끈끈이주걱(끈끈이귀개과) : Drosera rotundifolia 좌측에 꽃을 피우고 있는데 잘 살펴보지 못하고건성으로 대한 것이 못해 아쉽다.양분이 모자라는 산성 땅에서 자라면서 벌레를 잡아 양분을 취하는 식충식물이다.   벌레가 붙어 잎이 오므라든 모습도 보인다.   7월에 잎 사이에서 자란 꽃줄기 끝에흰색 꽃이 모여 핀다. 작은 벌레가 샘털에 닿으면 붙어서 움직이지 못하고 샘털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에 의해 소화된다.     주걱 모양의 잎 표면에 붉은 털이 많이 나 있다.   양지바른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개체 수는 풍부하다고 하나 습지가 줄어들면서 자연에서 만나기가 쉽지 않다.누군가 보호하기 위해서 철조망을 쳐 두었는데 습지여서 엉거주춤한 자세에서 담다 보니까  많이 흔들린다.   중학교 때 생물 시간, 선생님께서 수업 들어오시면무조건 아무나 지명해서 전.. 2016. 6. 13.
끈끈이주걱 우리나라 각처에서 자라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벌레잡이식물이다며 크기는 6~30cm다. 자연 상태의 꽃을 보기위해 찾았지만 이미 꽃이 지고 난 뒤다. 2012. 8. 9.
벌레잡이제비꽃(통발과):Pinguicula vulgaris var. macroceras 제비꽃과 비슷하며 상순은 2개, 하순은 3개로 갈라지는데 옆면에 선모(腺毛)가 나 점액을 분비하여 벌레를 잡는다. 꿀주머니는 가늘고 길며 끝이 둔하다.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옆으로 퍼진다. 북부 고산지대의 습한 암벽에서 분포하며 다년생 식물이다. 열매는 삭과로 2개로 갈라지며 .. 2012. 3. 5.
끈끈이주걱(끈끈이주걱과) 끈끈이주걱으로 꽃이 피기 전의 모습이다.이름과는 달리 꽃은 벚꽃과 비슷한 이미지로 예쁘다.먹이는 점액의 점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먹이로 큰 것은 한계가 있는데 초파리나 날파리 같은 작은 종류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국내에 자생하는 끈끈이주걱은 긴 잎끈끈이주걱, 끈끈이귀개로 3가지 종류가 있는데 개체수가 적어 보호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2011. 7. 12.
파리지옥(끈끈이귀개과):Diathus barbatusn 파리지옥 꽃 파피지옥으로 마침 꽃이 있어 담아 보았다. 파리지옥으로 식충식물이며 여러해살이풀이다.파리, 나비 등의 곤충들을 벌려진 잎 안으로 들어오면산채로 먹으며 소화가 끝날 때까지 보통 일주일 또는 10일간의 소화 기간을 갖는데 일단 소화가 끝나면 잎을 벌려 나오며 소화가 안 된 것은 밖으로 내보낸다.이 식물을 기르게 되면 파리나 모기 등 귀찮은 곤충들을 파리지옥이 해결하지 않을까 싶다. 별도의 비료가 필요없으며 보통 2~3년 자라야 곤충들을 잡아먹는다. 2011. 7. 12.
이삭귀개(통발과):Utricularia racemosa Wall. 꽃은 8~9월에 꽃줄기 끝에 4~10개의 자주색 꽃이 옆을 보고 피는데 입술 모양이며 거는 하순보다 2배 정도 길며 앞을 향한다. 양지쪽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벌레잡이 주머니가 달려있어 작은 벌레들을 잡아 양분을 흡수하는 식충식물이다. 2010. 9. 30.
땅귀개(통발과):Utricularia bifida 꽃은 8~9월에 피며 꽃줄기 끝에 2~7개씩 달린다. 높이는 7~15cm이고, 1~2개의 벌레잡이 주머니가 달려 있어 벌레를 잡는다.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충식물이다. 2010. 7. 5.
통발(통발과):Utricularia japonica 꽃은 8~9월에 4~7개의 노란색 꽃이 물 밖으로 나온 꽃줄기 끝에 옆을 보고 핀다. 포충낭이 있어 작은 벌레를 잡으며, 열매는 익지 않는다. 뿌리가 없이 물에 뜨며 취약종인 다년생 식충식물이다. 2010. 7. 5.
긴잎끈끈이주걱(끈끈이귀개과)꽃 2010. 5. 28.
벌레잡이제비꽃(통발과)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서 옆으로 퍼지고 긴 타원형이나 좁은 달걀 모양이며 연한 녹색에 안쪽으로 말리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윗잎술꽃잎은 2갈래, 아랫입술꽃잎은 3갈래로 갈라진다. 면에 선모가 나 점액을 분비하여 벌레를 잡는다. 꽃줄기는 1~3개가 나오며 제비꽃처럼 생긴 자주빛 꽃.. 2008. 11. 27.
끈끈이주걱(끈끈이귀개과):Drosera rotunditolia 벌레잡이 식물로 높이가 6~30cm이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둥근 모양으로 주걱처럼 생겼다. 잎의 앞면과 가장자리에 붉은 색의 긴 선모가 있고 잎자루 밑 쪽에는 갈색의 털이 있는데 여기서 벌레를 잡는다. 들판의 양지쪽이나 산성의 습지에서 자란다. 2008. 11. 27.
파리지옥(끈끈이귀개과) :Dionaea muscipula 잎은 4~8개가 뿌리에서 돋아나고 길이3~12cm이며 잎자루에 넓은 날개가 있다. 잎에는 많은 선이 있어 벌레들을 유혹하고 3쌍의 감각모가 있어 그중의 어느 것이든 벌레가 두 번 닿게 되면잎의 양면이 닫히며 안쪽에 돋은 선에서산과 소화액을 분비하여 벌레를 분해, 흡수한다. 원산지는 미국이며 이끼가 낀 습지에서 자란다. 2008. 11. 27.
토바이카:Nepenthes 2008. 1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