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껍질은 백색으로 종이처럼 옆으로 벗겨진다.
일 년생 가지는 자갈색으로 털이 없고 겨울눈은 긴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세모진 달걀형이다. 치아 상의 단거치 또는 겹톱니가 있다.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차가버섯은
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며
성인병 치료에도 효능이 있어 기능성 식품으로
면역력을 증강시켜주며 분말로 만들어 차로 마시기도 한다.
오래전 지인이 준 커다란 차가버섯이 매우 단단해서
자르기가 무척 힘들었던 기억이 새삼 나게 한다.
2월의 자작나무
4월의 자작나무로
길 가장자리 관상수로 심어져 있다.
'나무(꽃)들과의 만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추나무(갈매나무과) (0) | 2022.06.29 |
---|---|
쉬땅나무(개쉬땅나무) (0) | 2022.06.28 |
왕버들(버드나무과) (0) | 2022.06.25 |
모감주나무((무환자나무과) (0) | 2022.06.23 |
매실나무(장미과)와 살구나무(장미과) 꽃과 열매 구분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