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309 왕오색나비(네발나비과) 암컷 사슴처럼 두개의 뿔이 나 있다. 애벌레는 팽나무의 잎을 먹고 자라며, 어른벌레는 나무의 수액을 먹고 자라며 애벌레 상태에서 겨울을 난다. 날개 길이는 수컷이 50mm, 암컷이 65mm 내외이며 천적으로는 맵시벌이 있다 2009. 3. 3. 애기일엽초(고란초과):Polypodiaceae 높은 곳이어서 잎 뒷면 포자 확인은 할수 없었지만 포자낭군이 잎의 뒷면 위쪽에 2줄로 달리며 포막(包膜)이 없다. *7월의 모습 길이가 6~8cm이고 털이 없으며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뒤로 말린다. 그늘진 곳의 바위 위 또는 노목에 붙어서 산다. 2009. 3. 3. 산일엽초(고란초과) 일엽초와 산일엽초는 포자낭의 크기로 구분을 한다는데 말라 있어 구분은 불가능하고, 일엽초는 포자낭이 커서 여백이 적고 산일엽초는 포자낭이 작아서 여백이 많은 편. 일엽초는 난대식물로 남부지방의 저지대에 많이 있고 고지대로 갈수록 산일엽초가 많다고 하니 중부 이북에서 만난 것이니 산일엽초가 아닐는지. 일엽초와 비교하면 산일 엽초의 길이가 더 길고 일엽초는 모여 나지만 산일엽초는 하나씩 떨어져서 난다고 하니 이 정도면 산일엽초가 아닐까 싶다. 2009. 3. 3. 고추나물 열매 아래는 10월의 고추나물 2009. 3. 2. 양평 청운면 가도가도 끝이없는 어느 산 임도(林道)~ 출구를 찾지 못해 미로를 헤매이다 지쳐갈 즈음, 그래도 한눈에 펼쳐지는 시원한 시골 풍경에 갈길 멈추고 몇컷 담는 것으로 마음을 추스리고, 오랜시간 마음조이다 겨우 헤어날수 있었던 양평의 어느산! 안내판이라도 세워두는 친절이 아쉬웠던 하루~ 2009. 3. 2. 꿩의밥(골풀과)Luzula capitata 잎가장자리에 긴 흰털이 있다.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4~5월에 줄기 끝의 두상꽃차례에 노란색의 꽃밥을 가진 적갈색의 작은 꽃이 모여 달린다. 2009. 3. 2. 흫국사 경기도 남양주 별내면 덕송리에 자리하고 있다 . 2009. 3. 2. 상수리나무(참나무과):Quercus acutissima 남양주 별내면의 보호수로 지정되어있는 400년된 상수리나무다. 수고는 15m이며, 나무 직경은 117cm다. 2009. 3. 2. 목향원 명당? 언제 들려도 내집 안방같은 아늑한 분위기에, 차는 다음 기회 마시기로 하고 잠시 분위기를 가까이에 두고 싶어 담아 보았다. 2009. 3. 2. 거제수나무(자작나무과):Betula costata 유명산 정상부근에서 만난 거제수나무 사스레나무와 구분이 쉽지 않아 많은 검색을 거친후 거제수나무로 올린다. 2009. 3. 1. 층층나무(층층나무과):Cornus controversa 가지와 눈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가지가 줄기에 층층으로 돌려서 나며 수평으로 퍼져나는 모습이다. 5월의 층층나무 2009. 3. 1. 돌단풍 2009. 2. 28. 하이디하우스 2009. 2. 28. 할미꽃 성급한 마음에 혹시 하고 할미꽃 찾아 나섰는데 작년 철 지난 할미꽃의 흔적만이... 아래는 3월의 모습 2009. 2. 28. 병꽃나무 열매(삭과) 2009. 2. 28. 영춘화 2009. 2. 28. 빛의 이용 2009. 2. 28. 쥐똥나무 열매 쥐의 똥을 닮아 '뒤똥나무'라고 이름 붙여진 쥐똥나무 열매다. 가지는 무성하지만 탐스런 열매는 쉽게 만나지지 않는것 같다. 2009. 2. 26. 가락지나물 (장미과):Potentilla kleiniana 양지바른 곳 손바닥모양의 타원형잎을 하고 있는 가락지나물이 일찍 모습을 드러냈다. 2009. 2. 25. 가는잎그늘사초(사초과) 그늘진 바위틈이나 건조한 숲 속에서 자라며 여러해살이풀. 잎은 편평하거나 안쪽으로 말리고 나비 0.5~1mm이며 줄기보다 길고 꽃이 진 뒤에 더 길어진다. 4월의 꽃이 핀 모습 2009. 2. 25. 이전 1 ··· 643 644 645 646 647 648 649 ··· 7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