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야생초(꽃)들과의 만남5787

[스크랩] 바위채송화(돌나물과) 바위채송화(돌나무과):                                       산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퉁퉁한  다육질의 선형잎은 채송화와 비슷하다.                                        포는 꽃보다 약간 길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큰개현삼(현삼과) 1m높이로 자라며 네모진 줄기는 자주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화관은 단지모양이고 끝부분은 5개로 갈라지며 잎술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현삼이라는 약재로 쓴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좀딸기(장미과) 좀딸기(장미과) : 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뿌리가 내린다. 7월에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한개씩 피며 경북 이북에 분포한다. 2008. 9. 7.
[스크랩] 초롱꽃(초롱꽃과) & 섬초롱꽃(초롱꽃과) 초롱꽃   초롱꽃(초롱꽃과):  전체에 털이 많다. 꽃은 황백색이며 초롱과 비슷해서  '초롱꽃'이라 한다.   아래는 섬초롱꽃이다.      섬초롱꽃(초롱꽃과):꽃은 종 모양이며 자주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산달래(백합과) & 지느러미엉겅퀴(국화과) 산달래(백합과) 지느러미엉겅퀴 지느러미엉겅퀴(국화과)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자주조희풀(미나리아재비과) 학명: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종 모양의 연한 청자색꽃이 4갈래로 갈라져 핀다. 잎은 3출엽이며 작은 잎은 넓은 달걀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암수 딴그루다.  씨는 머리 모양으로 둥글게 모여 달리며 깃털 모양의 암술대가 있다.개화기는 8~9월 결실기는 9~10월이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6.
[스크랩] 방패꽃(현삼과)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나리*신경숙 원글보기 메모 : 2008.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