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298 [스크랩] 박(박과)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왜솜다리(국화과) 근생엽 꽃이 있었을때의 모습도 아름다웠겠지만 꽃이 진후의 선의 아름다움도 멋스러워서....... 왜솜다리:Leontopodium japonicum 중부 이북의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전체가 흰 털로 덮혀 있어 흰빛을 띤다. 8~9월 줄기끝에 회백색 꽃송이가 위를 향해서 .. 2008. 9. 7. [스크랩] 산국( 국화과) 봉평에서 내려오는길에 쫓기며 간신히 담은것이어서 모습이 별로입니다. 접사도 제대로 못하고~ 노란꽃잎으로 국화주를 담기도 하며 어린잎은 나물로도 먹는다. ' 개국화' 라고도 하다. 2008. 9. 7. [스크랩] 솜나물(폐쇠화)~가을형 솜나물 가을형은 꽃이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폐쇠화' 라 합니다. 솜나물 열매 * 봉평에서~ 봄형의 '솜나물' 3,4월의 모습입니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까실쑥부쟁이(국화과) 지난 봉평에서 담은 것입니다. 2008. 9. 7. [스크랩] 쑥방망이(국화과) 만나고 싶었던 쑥방망이 민둥산에서 만났습니다. 학명 :Senecio argunensis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새깃처럼 갈라진 모습이 쑥잎과 모양이 비슷하다. 줄기에 희미한 능선과 털이 있으며 줄기 중간의 잎은 잎자루가 없다. 노란색 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 개화기: 8~10월이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이질풀(쥐손이풀과) 알듯 하면서도 볼때마다 헷갈리게 만드는 꽃입니다. 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손바닥처럼 3~5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는 30~50cm 높이로 자라고 위로 퍼진 털이 있다. 개화기 6~8월, 이질병의 치료에 쓰인다하여 '이질풀' 이라한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큰땅빈대(대극과) 20~60cm 높이로 비스듬히 자라며 붉은빛이 돈다. 줄기에 마주나는 잎은 긴 타원형으로 3~5개의 잎맥이 있고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땅빈대와 애기땅빈대에 비해 잎이 크고 삭과 열매에 털이 없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병아리풀(원지과) 작년에는 디카의 배러리 문제로 병아리풀 발견하고도 바라만 봐야하는 안타까움이 있었는데 올해는 원없이 담았지만 별로 건질게 없어 딱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병아리풀(원지과) : 학명 : Polygaia triphylla 키는 4~15cm 정도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 2008. 9. 7. [스크랩] 구절초(국화과) 줄기와 잎을 말린것을 한약방에서 부인병에 사용하는데 음력으로 9월 9일 채취한것이 약효가 좋다고 하여 "구절초" 라는 이름이 붙혀졌다. *양력10월 19일 (음력9월9일) 2008. 9. 7. [스크랩] 돌마타리(마타리과) 제가 좋아하는 마타리, 금마타리, 돌마타리, 대표적인 마타리들~ 이래서 올해도 다 만날수있어 행복했던하루 잘 나오진 않았지만 의미가 있기에 올립니다. 지금쯤 대부분 씨방들을 맺었지만 유일하게 늦둥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금마타리보다 더 만나기 어려운 것이란 생각~^^ 돌마타리: Patrinia rupestr.. 2008. 9. 7. [스크랩] Re:송장풀(꿀풀과) ~ 전초 모습입니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큰엉겅퀴(국화과) 큰엉겅퀴(국화과) : Cirsium pendulum 1~2m 높이로 곧게 자라며 새깃처럼 갈라진 뿌리잎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가시가 있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뿌리잎과 같으나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8~9월에 갈라진 가지마다 붉은색 꽃송이가 고개를 숙이고 늘어짐. 2008. 9. 7. [스크랩] 복습 차원에서~조밥나물, 미역취, 맑은대쑥 입니다.(국화과 식물들) 조밥나물(국화과), 학명: Hieracium umbellatum 꽃은 민들레와 잎은 버드나무와 비슷한 조밥나물입니다. 그림붓처럼 똑바로 뻗은 모습이 아름다워 "그림붓 민들레" 라고 일컬어 지기도 미국에서는 '여신의 그림붓' 어리순은 나물로 먹는다. (명성산에서) 미역취(국화과)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줄기 밑부분은 흑자색을 띤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화악산에서) 맑은대쑥(국화과) 학명: Artemisia keiskeana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거꾸로된 달걀형이며 결각 모양의 톱니가 있다. 7~9월에 총상꽃차례의 연노랑색꽃이 핀다.(화악산에서) 요즘산에서 많이 볼수 있는 기회가....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그늘돌저귀 화악산에서 담아 오고서도 자신이 없어 투구꽃이겠거니 하면서 그냥 이름 없이 저장해 두고 있었던 것입니다. 2008. 9. 7. [스크랩] Re: 투구꽃일까요? 화악산에서 담아 오고서도 자신이 없어 투구꽃이겠거니 하면서 그냥 이름 없이 저장해 두고 있었던 것입니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들깨풀과 푸른들깨, 쥐깨풀의 모습입니다. 들깨풀: 잎자루가 위로 올라 갈수록 짧아진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긴 타원형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아래는 푸른산들깨로 줄기가 크고 녹색으로 퍼진 털이 있다. 햇볕이 드는 부분은 자주색으로 변하며 엽병이 길다. 아래는 쥐깨풀이다. 줄기는 네모지며 가지가 갈라지며 밑을 향한 털이 있다. 가장자리 톱니 수는 3~4개로 산들깨 잎 가장자리 톱니 수보다 적다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좀개미취(국화과) 학명:Acter maackii regel 잎은 어긋나고 피침 모양이고, 8~9월 자주색의 두상화가 방상꽃차례로 핀다. 줄기는 약 60cm 정도다. 벌개미취보다 꽃의 설상화가 더 가늘고 잎도 가늘다. 오대산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2008. 9. 7. [스크랩] 가는잎구절초( 국화과) 학명: Chrysanthemum Zawadskii 7~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으로 핀다. 줄기와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리며 지름 약 5cm 정도다. 아랫부분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져 차츰 없어지고 양면에 선점이 있으며 깃꼴로 갈라진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돌양지꽃(장미과) 산 중턱 이상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돌양지 꽃이다. 높은 산에서 자라는 만큼 만나기도 쉽지 않아 제대로 된 모습 담기가 쉽지 않다. 겨우 만났지만 상태가 좋지 않아 아쉽다. 꽃은 다 지고 열매를 맺고 있다. 개화기는 6~7월로 잎은 3~5개며 깃꼴겹잎이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이전 1 ··· 700 701 702 703 704 705 706 ··· 7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