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꽃이 아닌 황매화인데 가지 끝에 잎과 같이 핀다.
개화 기간이 길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대와 길이가 비슷하다.
죽단화는 황매화에 비해 꽃이 화려해서인지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 흔하게 볼 수 있다.
요즘 보이는 것은 대부분 죽단화인데
황매화로 이름표가 붙어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황매화로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잎 가장자리에 결각 모양의
겹톱니가 있으며 잎맥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아래는 겹꽃이 피는 죽단화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결각 모양의 겹톱니가 있으며
잎맥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뒷면 맥 위에 털이 난다.
죽단화로 겹꽃이 핀다.
황매화의 변종으로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꽃은 4~5월에 노란색 겹꽃이
가지 끝에 잎과 함께 핀다. 원산지는 일본이다.
높이는 2m 정도로 자라며, 열매는 거의 맺지 않는다.
꽃이 황매화보다 더 탐스러워서인지
대부분 정원수로 황매화를 많이 심는 것 같다.
'나무(꽃)들과의 만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갈나무 충영, 참나무순혹벌(갈떡혹벌) 벌레집 (0) | 2023.04.25 |
---|---|
은단풍(단풍나무과) (4) | 2023.04.25 |
잘려진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2) | 2023.04.24 |
잣나무(소나무과) 나이테와 열매 (0) | 2023.04.24 |
으름덩굴(으름덩굴과) 암꽃과 수꽃, 열매 (0) | 2023.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