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버섯275

영지(靈芝) 불로초로도 불리는 영지는 여름에 활엽수 뿌리 밑둥이나 그루터기에 발생하며 한방에서는 강장, 진해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심장병,고혈압등 각종 암종류에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만년버섯, 중국에서는 영지라고 한다. 용인의 어느 산에서 등산을 하는중에 4송이를 만났는데 또 다.. 2012. 8. 15.
구름버섯(구멍장이버섯과) 약용버섯으로 처음 항암물질인 포리사카라이드가 발견된 버섯으로 간염, 기관지염 등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흔히 운지버섯으로 부르고 있는데 이는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침엽수, 활엽수의 고목에 기왓장처럼 겹쳐서 무리 지어 있다. 2012. 4. 11.
지의류 지의류는 조류와 함께 공생하는 곰팡이로 극지방에서 적도까지 지구 어디든 서식가능한 생물체이며 또 지구상의 어떤 기후조건에도 살아남을 수 있다. 석이버섯인 석이는 대표적인 식용 지의류다. 조류는 광합성을 하여 균류와 자신이 필요한 영양분을 만든다고 생각하여 공생(共生) 한.. 2012. 3. 20.
때죽조개껍질버섯(구멍장이버섯과) 때죽나무나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생입목 줄기에홀로 또는 무리지어  여름에서 가을에 발생한다.반 원형으로 조개모양이다. 조직은 가죽질이고 흰색이다 2012. 3. 20.
달걀버섯(광대버섯과) 화려한 버섯은 보통 독이 있는 버섯으로 알고 있는데 이 계란버섯은 특별한 맛은 없지만 먹을 수는 있답니다. 2011. 11. 20.
운지버섯 2011. 9. 8.
들주발버섯 2010. 10. 21.
영국병정지의 일종의 '지의류' British sodiers의 빨간 모자를 닮았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이라고.... 2010. 9. 30.
노루궁뎅이버섯 깊은 산 고사목에 붙어서 자라고 있는 처음 보는 노루궁뎅이버섯, 맛도 좋은 식용 가능한 버섯이라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 노루궁뎅이를 닮았는지는..... 앞쪽도 궁금해서 담아 보았다. 2010. 9. 10.
혀버섯(좀목이과):Guepinia spathularia 마치 촛불을 밝혀 놓은 듯하다. 침엽수의 고목의 갈라진 틈새에 일렬로 일년내내 군생하며 높이는 1~1.5cm며 전국에 분포한다. 아교질 같은 연골질로 주걱 모양이며 황색으로 건조하면 백색이 된다. 마치 촛불을 밝혀 놓은 듯하다. 2010. 8. 20.
흰가시광대버섯 2010. 8. 17.
영지버섯 영지버섯 2010. 8. 15.
애기낙엽버섯(송이버섯과):Marasmius siccus 활엽수의 낙엽에 군생하며 모양은 종형에서 둥근 산모양이며 크기는 1~2cm다. 2010. 7. 29.
냄새무당버섯(무당버섯과) 독버섯이다. 2010. 7. 10.
세발버섯(바구니버섯과) 2010. 7. 5.
조개버섯 2010. 2. 28.
운지버섯 2010. 2. 28.
들주발버섯(접시버섯과):Aleuria aurantla 어느 가을 잡초들도 마다할 마사토의 척박한 땅에 주발과 접시 모양의 버섯, 예쁜 주황색에 이끌려 담아왔는데 뒤늦게 이름을 알게되어 올려 본다. 2010. 1. 21.
흰가시광대버섯 2009. 9. 5.
나팔버섯(나팔버섯과) 자실체는 깔때기형, 나팔형으로 윗면은 등황색에서 적황색이며 밑 부분은 주름형으로 황백색에서 담갈백색이다. 전나무나 침엽수림 내 땅 위에 홀로또는 몇 개씩 다발로 발생한다. 중독을 이루는 버섯이다. 2009.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