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752 [스크랩] 왕고들빼기(국화과) * 길가 왕고들빼기 멋진 모습에 잠시 차를 세웠습니다. 줄기는 1~2m 높이로 곧게 자라며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새깃꼴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8~9월에 줄기끝에 갈라진 가지마다 연노랑색 꽃이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줄기나 잎을 자르면 우유 같은 흰 즙액이 나온다. 2008. 9. 7. [스크랩] 싱아(마디풀과) 1m 정도 높이로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에 어긋나는 피침형 잎은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6~8월 줄기와 가지마다 자잘한 흰색꽃이 이삭 모양으로 달려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어린 줄기와 잎은 나물로 먹을수 있고 신맛이 난다. 명성산에서~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구릿대(미나리과) 전체적인 분위기로 봐서는 자줏빛을 띠는개구릿대로 볼 수 있으나, 구릿대 열매는 열매 자루와 열매 길이가 비슷하거나 간혹 약간 긴 것도 보이는 것으로 결론은 구릿대로 올리게 된다. 개구릿대는 열매자루가 열매 길이보다 2배 이상 더 긴 것은 4~5배 되는 것도 있어 쉽게 구분이 된다. 1~2m 높이로 자라는 줄기는 윗부분에서 많이 갈라지며 줄기 위부분의 잎은 작고, 잎집은 굵어져서 긴 타원형으로 된다. 7~8월 줄기와 가지 끝의 겹산형꽃차례에 흰색 꽃이 둥글게 모여 달린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억새(벼과) 길가의 억새도 이렇게 가을맞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멀지않아 열매가 익으면 씨에 붙은 털이 하얀 솜털처럼 피어나 손짓하겠죠. 명성산에서 담아왔습니다. 잎은 억세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살갗에 닿으면 베일수도 있다. 가운데 주맥(잎맥) 에 뚜렷한 흰색선이 보인다. 9월에 자주색꽃이 피며 줄기는 1~2m 높이로 곧게 자란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산구절초(국화과) 접근하기 쉽지 않은 곳에 꽃을 발견하고 간신히 나무를 잡고 버티며 어설프게 담아 온 것입니다. 때 이른 것이어서 반가웠다'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9~10월 줄기나 가지 끝에 흰색꽃이 하늘을 향해 핀다. 구절초와 비슷하지만 줄기가 바로 서있고 꽃은 구절초 보다 작으며 잎은 많이 갈라진다. 구절초는 쓰러지듯 비스듬히 선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조밥나물(국화과)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촛대승마(미나리아제비과)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2~3회 3출엽이며, 키는 100cm~150cm 정도다. 6~7월 에 줄기 끝에 자잘한 흰색 꽃이 모여 달린 모양이 촛대 모양을 하고 있다. * 날씨 탓인지 아니면 계절적으로 늦어서 그런지 꽃 상태가 별로지만 아쉬운 데로 올려 본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수리취(국화과) 옆을 보고 달리는 자주빛이 도는 갈색꽃의 수리취 모습입니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도둑놈의갈고리(콩과) 도둑놈의 갈고리가 열매를 맺은 모습이다.2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꼬투리열매는 끝에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사람의 옷이나짐승의 털에 잘 달라붙는다. 잎은 3출엽이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수리취(국화과) 수리취와 마타리가 서로 경쟁이라도 하듯 자태를 드러내고 있네요. 내일 금대봉에서 많이 만나겠죠. 미리 선을 보세요. 9~10월 줄기나 가지끝에 자주빛이 도는 갈색 꽃송이가 옆을 보고 달린다. 봄에 나는 잎으로 떡을 해서 먹으면 별미죠. 참취와 흡사하지만 수리취의 잎이 더 크다. 2008. 9. 7. [스크랩] 치악산 자락에서 아침 산책에서 만난 이들~^^ 지인의 안내로 멋진 별장에 머물며 아침 산책에서 만난 꽃들을 담아 보았습니다. 서울에서 잊고 지냈던 밤하늘 초롱초롱한 별들을 볼수 있어 좋았고, 잘 다듬어진 넓은 잔디며 조용한 산속 별장에서 뜻있고 보람된 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 별" 볼일 있었던 곳~ 달개비꽃과 열매 고마리 꽃은 예쁘지만 제대로 담은 기억이 거의 없을 정도. 미국쑥부쟁이 아침이슬 머금은 모습이 넘 깨끗하고 예뻐서~ 이슬 머금은 탑꽃도 예쁘고~ 노랑물봉선 계곡을 따라 물봉선이 흐드러진 모습에 취하기도~^^ 나래가막살이 담배풀이 풍년인가봐요. 고추나물도 열매를 달고 있네요. 흐르는 계곡물 배경삼아~ 진범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까실쑥부쟁이, 개시호, 쥐꼬리망초, 두메담배풀 까실쑥부쟁이(국화과): 8~10월에 가지끝의 산방꽃차례에 자주색꽃이 위를 향해 핀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밑 쪽에 3개의 잎맥이 있다. 개시호(미나리과): 7~8월 가지 끝마다 자잘한 노란색 꽃이 겹산형꽃차례로 모여서 핀다. 긴 타원형 잎은 잎맥이 뚜렷하며 밑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 2008. 9. 7. [스크랩] 송장풀, 물양지꽃, 층층잔대 송장풀 송장풀(꿀풀과): 8~9월 잎겨드랑이마다 5~6개의 연한 홍색 꽃이 층층으로 달린다. 아랫입술 꽃잎은 3개로 짧게 갈라진다. 줄기에 마주나는 달걀형 잎은 가장자리에 커다란 톱니가 있다. 아래는 물양지꽃이다. 물양지꽃 물양지꽃 물양지꽃 물양지꽃(장미과) 아래는 층층잔대다. 층층잔대 : 비와 바람으로 상태가 좋지 않다. 키는 1m정도이고 잎은 긴타원형으로 5장이 층층으로 돌려난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더덕, 눈빛승마, 각시취 산속에서 직접 만나 더욱 반가웠던 더덕(초롱꽃과) 꽃잎 안쪽에 짙은 갈색 반점이 인상적이다. 더덕 눈빛승마(미나리아재비과) : 2m 정도 높이로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2~3회 3출엽이다. 눈빛승마 각시취(국화과)로 반가웠지만 활짝 핀 모습이 아니어서 아쉽다. 8~10월에 갈라진 가지마다 홍자색 꽃송이가 위를 향해 핀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고슴도치풀(피나무과) 아침에 비가 오는데도 천마산 꽃탐사 다녀왔습니다. 개울물이 불어나 양말까지 벗는 수고들은 했지만 또다른 경험이어서 좋았던 하루~ 봄꽃에 비해서 가을꽃이 만족스럽진 않았지만 함께해준 분들이 있어 행복했습니다. 8~9월 잎겨드랑이에 황색꽃이 피는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갈고리 같은 가시로 덮혀 있어 "고슴도치풀" 이라 하며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산여뀌(마디풀과), 탑꽃(꿀풀과) 산여뀌로 줄기는 붉은빛이 돌며 마디에는 털이 밑을 향해 있다. 꽃은 6~8월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자잘한 흰색이나 분홍색 꽃이 모여서 핀다. 산의 습기가 있는 빈터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아래는 탑꽃이다. 탑꽃으로 개화기는 7~8월 잎겨드랑이에 입술 모양의 분홍빛이 도는 흰색 꽃이 모여 층층으로 핀다.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꼬불꼬불한 털이 있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메모 : 2008. 9. 7. [스크랩] 고추나물, 쇠서나물, 금불초, 벌등골나물, 흰진범, 분취 고추나물(물레나물과) 마주칠 때면 왠지 반가움에 담게 되네요. 아래는 쇠서나물 잎에 거센 털이 있어 소의 혀같이 깔깔한 느낌이 있어 쇠서나물 이라한다. 금불초(국화과) 벌등골나물(국화과) 흰진범/흰진교(미나리아재비과) 좀 이른 탓에 만개한 꽃을 볼 수 없어 아쉽다.. 분취(국화과)(?)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오이풀, 층층이꽃, 흰송이풀, 파란여로, 말나리 오이풀 오이풀 오이풀(장미과): 잎을 자르면 오이 냄새가 나서 '오이풀'이라 한다. 층층이꽃 층층이꽃 층층이꽃 층층이꽃(꿀풀과) : 개화기 6~8월 줄기와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마다 여러 개의 홍자색 꽃이 돌려가며 핀다 . 꽃이 잎겨드랑이마다 층층으로 달리므로 "층층이꽃" 이라 한다. 흰송이풀 흰송이풀 흰송이풀(현삼과) 파란여로로 꽃색이 녹색 바탕에 연한 자줏빛이 돈다. 파란여로(백합과)로 꽃색 전체가 녹색이다. 말나리(백합과)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스크랩] 산솜방망이(국화과) 깊은 산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7~8월에 줄기끝에 갈라진 가지마다 황적색 꽃이 피는데 꽃잎이 밑으로 젖혀진다. 줄기에 어긋나는 잎은 거꾸로된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잎의 양면에 잔털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2008. 9. 7. [스크랩] 명아주, 망초, 개여뀌 명아주 명아주 열매 명아주(명아주과): '는장이'라고도 한다. 어릴 때 가운데에 붉은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명아주 줄기는 가볍고 단단하여 지팡이(청려장)를 만든다. 아래는 망초 망초(국화과):7~9월에 갈라진 가지마다 흰꽃 송이가 달려 원추 꽃차례를 이룬다. 개여뀌 개여뀌(마디풀과) :6~9월에 붉은색이나 흰색 꽃이 핀다. 기다란 피침형 잎은 양 끝이 뾰족하다. 출처 : 마들 꽃사랑회 글쓴이 : 신경숙*나리 원글보기 메모 : 2008. 9. 7. 이전 1 ··· 724 725 726 727 728 729 730 ··· 7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