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쟁이냉이 근생엽
는쟁이냉이로 뿌리 잎은 잎자루가 길고 깃꼴로
갈라진다. 물속에 뿌리내린 2월의 는쟁이냉이다.
3월의 명아주냉이
3월의 명아주냉이 근생엽으로 모여나기 한다.
묵은 잎을 달고 있는 3월의 는쟁이냉이다.
는쟁이냉이 꽃봉오리 모습
는쟁이냉이 십자 모양의 꽃이 귀엽다.
줄기잎은 어긋나는데 둥근 달걀형으로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 쪽이 날개가 되어 줄기를 감싼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 응달진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4월의 는쟁이냉이 꽃으로
5~6월에 줄기 윗부분에서 갈라진 가지마다 십자모양의
흰색 꽃이 촘촘히 모여 핀다. 4개의 꽃잎과 꽃받침 조각이 있다.
6월의 천진암 는쟁이냉이로 꽃이 진 뒤 덜 익은 열매를
달고 있는데, 익은 열매 길이는 2~3cm로 종자는 검은색이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물김치도 담으면 맛있다는데
개인적으로 차마 잎은 채취할 수 없을 것 같다.
'야생초(꽃)들과의 만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털괭이눈(범의귀과) 근생엽과 꽃 (2) | 2025.03.08 |
---|---|
개복수초(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미나리아제비과) (8) | 2025.03.08 |
벼룩이자리(석죽과) 근생엽과 꽃, 벼룩나물(석죽과) 꽃 (2) | 2025.03.06 |
산괴불주머니(현호색과) 근생엽과 꽃 (2) | 2025.03.04 |
산일엽초(고란초과), 일엽초(고란초과), 애기일엽초(고란초과) (6) | 202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