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야생초(꽃)들과의 만남

서양민들레((국화과), 민들레, 산민들레

by 나리* 2022. 4. 30.

 

서양민들레로 꽃줄기 끝에 노란색 꽃이 핀다.

외포 편 총포가 뒤로 젖혀져 있다.

 

 

 

 

 

 

 

비늘 모양의 외포 편 총포 조각이

뒤로 젖혀져 있다.

 

 

 

털이 달린 씨는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다.

 

 

서양민들레로 뿌리잎은 무 잎과 비슷하다.

여러해살이풀로 잔디밭이나 풀밭에서 흔히 자라는데

대부분 우리나라 토종 민들레가 아닌 서양민들레다.

민들레와 비슷하지만 총포조각 중 내포편은 곧추서고

외포편이 뒤로 젖혀진 것으로 구분된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아래는 우리나라 토종 민들레로 총포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내포편 끝에 뿔 같은 작은 돌기가 있다.

산민들레는 꽃이 핀 다음 화경이 길어지는데

민들레는 산민들레처럼 화경이 그다지 길지 않고 짧은 편이다.

 

토종 민들레로 꽃은 4~5월에

잎과 길이가 비슷한 꽃대 끝에 노란색으로

꽃자루가 없는 작은 통꽃이 많이 모여 하늘을 향해 핀다.

꽃대에 흰색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아래는 산민들레다.

 

 

 

민들레는 서양민들레보다 흔하지 않고

바깥쪽 포조각이 곧추서며 뿔 같은 소돌기가 있는데

산민들레는 뿔 같은 소돌기가 없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