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은 내 친구
야생초(꽃)들과의 만남

선괴불주머니(현호색과) 꽃과 열매, 염주괴불주머니(현호색과) 꽃과 열매

by 나리* 2023. 10. 8.

 

 

 

 

 

 

 

 

열매가 아래를 향해 달려 있다.

익으면 껍질이 갈라져 터지면서

씨를 튕겨낸다. 검은색 씨는 광택이 있다.

 

 

 

 

 

 

 

산괴불주머니로 열매를 달고 있다.

 

 

 

 

 

 

청량산에 있는 선괴불주머니로 

숲 속 응달이나 습지에서 주로 자라는 두해살이풀인데

한 때 눈괴불주머니로 잘 못 불려지기도 했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지금껏 눈괴불주머니인지 산괴불주머니인지

매번 혼동을 하게 된다. 눈괴불주머니는 잘 없다고 

오래전 야생초 교실 선생님께 들은 기억은 있지만,

그 말씀 자체도 오래되어 기억이 가물가물 일단 선괴불주머니로 올린다.

비슷한 이름으로 이른 봄에 꽂을 피우는 산괴불주머니도 있지만,

초 봄 일찍 꽃을 피우기 때문에 구분이 된다.

 

반면 선괴불주머니는 8~9월 줄기나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의

노란색 꽃이 핀다. 기다란 꿀주머니는 끝이 가늘게 좁아진다.

 

또 비슷한 것으로 선괴불주머니는 염주괴불주머니와 다른점이

개화가 늦으며 작은 잎이 염주괴불주머니 잎과는 다르게

잘게 갈라지지 않고 매끈한 편으로 구분이 된다.

 

 

아래는 염주괴불주머니다.

 

 

염주괴불주머니 9월의 꽃

 

 

 

 

줄기는 약간 굵고 전체가 흰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 모양으로

2~3회 3출엽으로 전체가 세모꼴이다.

 

 

 

 

하천변 다리 아래 염주괴불주머니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다.

 

 

 

 

염주괴불주마니 삭과 열매는 염주 모양으로

씨가 들어 있는 부분이 볼록볼록 튀어나와

한 줄로 배열되며 원기둥 모양의 돌기가 있다.

7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9월의 염주괴불주머니

 

 

 

'야생초(꽃)들과의 만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뚱딴지(돼지감자)  (2) 2023.10.09
우산나물((국화과) 꽃과 열매  (0) 2023.10.09
고마리(마디풀과)  (0) 2023.10.07
개망초(국화과)  (2) 2023.10.07
개미취(국화과), 벌개미취(국화과)  (2) 2023.10.07

댓글